솔루션 Tip/개발&아키텍처

Tip || Github SSH key로 연동해서 효율성 높이기(Window ver)

Awesomist 2021. 10. 8. 00:18
728x90

 

Github Desktop에서 원만한 Push 소스 커밋을 위해서는

SSH Key 발행해서 공개키 등록해두는 것이 유용

 

 

1) 검색 > Git Bash 찾아 클릭

 

 

2. Git Bash 내에서 SSH 키 생성

  • 콘솔에 ssh-keygen 입력 + 엔터
  • 연달아 나오는 Enter file ~ / Enter passphrase ~ / Enter same passphrase ~ 멘트에 모두 엔터로 답해주기
  • 비밀키/공개키 생성 경로 확인
    • 비밀키 경로 안내 : Your identification has been saved in /c/Users/계정I/.ssh/id_rsa 
    • 공개키 경로 안내 : Your public key has been saved in /c/Users/계정/.ssh/id_rsa.pub

 

 

3. 그 자리에서 등록할 SSH key 확인하기

 

  • SSH Key 저장된 디렉토리로 이동 : cd ~/.ssh 입력
  • 해당 디렉토리 내에 전체 항목 체크 : ls -al 입력
  • Github에 등록할 공개키 복사 : cat id_rsa.pub 입력 후 출력되는 키 ssh-rsa 부터 전체 복사 (우클릭+복사)

 

(참고) - 리눅스 터미널 명령어 이해 : cd / ls / cat / pwd

더보기
  • cd : 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명령어 (Change Directory, Go to the Directory ~로 이해하면 됨) 
  • ls : 디렉토리 안의 내용을 나열하는 명령어 (List)
         - 전체 내용(숨김 포함)을 보고 싶을 때는 'ls --all' 또는 'ls -a' (List All) 
         - 전체 내용(숨김 포함) 디렉토리 정보 다 리스팅하고 싶을 때는 'ls -al'  
  • cat : 파일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concatenate 또는 catenate)
          'cat file' 또는 'cat file(1) file(2) ... file(n)' 형태로 사용
  • pwd : 현재 디렉토리를 알려주는 명령어 (Print Working Directory) 

 

 

 

1차 관문 완료 


 

4. 본인 Github에 복사한 공개키 등록하기  

  • 우측 상단 본인 계정 클릭 > Settings > SSH and GPG keys 클릭
     (동일 경로 : https://github.com/settings/keys)



  • New SSH Key 버튼 클릭 하고 복사한 전체 키 붙여 넣고 [Add SSH key]

↓↓↓

 

 

정상적으로 따라왔다면 이렇게 등록되고 오류가 있으면 invalid가 뜸

 

 

 

Enjoy your commi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