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볍게 배우고 깊게 즐기고 오래 남기기
정책MEMO || 산업부 선정 대한민국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 22곳 및 핵심기술내용 요약 정리 (PC권장) 본문
정책MEMO || 산업부 선정 대한민국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 22곳 및 핵심기술내용 요약 정리 (PC권장)
Awesomist 2021. 1. 12. 08:38
- 어제 (1/11) 산업통상자원부 발표한 소부장 으뜸기업 선정 / 지원 관련 주요 사항 정리
- 올 해 중 20개 이상의 소부장 으뜸기업을 추가로 선정하는 등 ‘24년까지 으뜸기업을 100개로 확대할 예정
(기존 6대 주력산업의 범위를 넘어 바이오·에너지 등 차세대 유망 新산업 분야까지 선정 범위를 확대 계획)
- 정부의 적극성과 '글로벌 위한 밀착지원', '금융지원', '디지털화 위한 규제특례'를 타겟으로 한 지원인 만큼
생산/R&D 지원 수준과 종합적인 지원의 범위가 개인적으로 이전 대비 매력적으로 판단됨
< 기업규모별 소부장 으뜸기업 선정 >
(단위:개) | 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합계 |
선정기업수 | 2 | 14 | 6 | 22 |
분야 | 으뜸기업 | 핵심전략기술 |
반도체(3) | 주성엔지니어링(주) | 반도체 증착 부품·장비 제조기술 |
(주)경인양행 | 반도체 패턴용 공정 소재 제조기술 | |
(주)동진쎄미켐 | ||
디스플레이(4) |
코오롱인더스트리(주) | 디스플레이용 필름 소재 제조기술 |
신화인터텍(주) | 디스플레이 발광 소재 제조기술 | |
(주)선익시스템 | 고해상도 OLED 제조를 위한 핵심부품 제조기술 | |
(주)에이치앤이루자 | 디스플레이 증착 장비 제조기술 | |
전기전자(4) |
에이테크 솔루션(주) | 광학 소재·부품 제조 기술 |
일진머티리얼즈(주) | 초극박 소재 제조 기술 | |
(주)아모텍 | 전류제어 부품 제조 기술 | |
㈜에코프로비엠 | 이차전지 전극 소재부품 제조 기술 | |
기계금속(7) | ㈜와이지-원 | 고경도 가공용 부품 제조기술 |
(주)이오테크닉스 | 광학 가공장비 제조기술 | |
하이젠모터(주) | 정밀모터 부품 제조기술 | |
새솔다이아몬드공업(주) | 연마 소재부품 제작기술 | |
(주)에스비비테크 | 고정밀 구동부품 제조기술 | |
(주)아스플로 | 산업용 특수 강관 소재 제조기술 | |
(주)미래컴퍼니 | 연삭장비 제조기술 | |
자동차(3) | (주)상아프론테크 | 자동차 연료전지 스택용 핵심 소재·부품 제조기술 |
(주)성우하이텍 | 카본 복합 소재 제조기술 | |
(주)오토젠 | 장수명 도금 강판 제조기술 | |
기초화학(1) | (주)후성 | 불소계소재 제조기술 |
* 핵심전략 기술별 선정이지만, 세부기술 차별성 인정받아 동시 선정된 기업
- (주)동진쎄미켐(ArF immersion 공정용 포토레지스트)
- (주)경인양행(KrF, ArF, EUV급 포토레지스트용 고분자 소재)
금번에 선정된 소부장 으뜸기업의 특징 (산업통상자원부 발표) |
① 특허, R&D 인원 및 역량, 관련 전문가 검토를 종합할 때 핵심전략기술 분야 국내 최고 기술 보유
② 국내외 투자, 해외 진출경력, 제조환경, 경영인의 의지와 비전 등을 통해 글로벌 Top 기업으로 성장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산업부 예시 기업)
ㅇ 예를 들어, 신화인터텍(주)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인 QD패널에서 방오, 방수에 필수적인 배리어 필름(對日 전량수입)이 필요없는 Barrier less QD필름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연매출 600억원 이상, 동 분야 세계시장점유율 40%(1위)를 확보하고 있다.
ㅇ 주성엔지니어링(주)은 차세대 반도체 공정에 적용가능한 ALD(원자층증착)장비의 증착 두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공간분할 증착기술을 세계최초로 개발하여 글로벌 반도체 소자기업인 A社(韓), B社(美)와 공동으로 증착장비를 개발 중에 있다.
ㅇ 일진머티리얼즈(주)는 반도체 기판 회로 제작에 필수적인 초극박 생산기술을 개발하여 국내 유일의 초극박 관련 원천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생산된 초극박을 일본에 역수출(‘19년 35억원 규모)하고 있다.
으뜸기업에 대한 5년간 맞춤형 밀착지원 |
ㅇ 향후 5년간 범정부 차원의 100여개 가용프로그램을 연계하여 ①기술개발 → ②사업화 → ③글로벌진출 전주기에 걸쳐 밀착지원을 받을 예정
< 범정부 소부장 으뜸기업 지원내용 >
1)글로벌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5년간 최대 250억원(연간 50억원)의 R&D를 지원하고 기업 부담금을 대폭 완화하여 공격적인 기술개발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2) 339개 공공기관 테스트베드 기반의 실증평가를 통해 기술개발 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하고, 4,000억원 규모 산업기술정책 펀드를 우선적으로 제공해 M&A·설비투자 등 필요 자금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첨부 : 산업부 소재부품장비 지원 상세 발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