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석시각화 (3)
가볍게 배우고 깊게 즐기고 오래 남기기
클라우드 서비스를 진행하기 전에 네트워크 정책, 사용자 권한(IAM), 보안 정책 및 태깅정책 등 등 클라우드 운영 전반적인 운영에 대한 기초 정책/구조 구성을 하는 것이 랜딩존 구축이다. 클라우드 서버 환경에 띄울 리소스를 선정하는 것부터 어떤 식의 운영정책 / 권한정책 / 네이밍 정책을 할 것인지 전반적으로 가이드를 설정하는 토대 공사 / 철조 공사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사람이 없는 조직에서 클라우드로 무언가 해보려고 하다보면 찔끔찔끔 IaaS 업무들, ETL 구성까지 관여해야 하는 상황이 오기 마련이다. Azure IaaS 체크리스트를 만들다가 정리하는 클라우드 아키텍처 요소들 - AWS든 GCP 든 기능/명칭 거의 동일하나 일부 명칭은 Azure의 네이밍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Virtual ..

바쁘다 바빠 끝이없다 공부 Slack GPT 개발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투입 여태 체크한 것들과 앱개발한 건은 나중에 전체 정리하기로 하고 학습시키는 데이터 개발 생성도 파이썬으로 개발하면 되지만 앱 연동이 우선이니 일단 GoogleSheet에서1차 정제 들어가는 것이 빠르게 삶을 사는 방법 확실히 사내에 활용하기에는 기존 모델 내에 자잘한 유연화에 심어주는 형태가 제일 좋긴 한 것 같다. 세션마다 학습시키는 것은 너무 비효율적이다. GPT를 활용하기 위해서 필수 전제 조건 : OpenAI API Key 획득 https://platform.openai.com/ 가입 후 https://platform.openai.com/account/api-keys 에서 개인 API Key가 있어야 활용 가능하다. (아..

PowerBI는 파이썬 스크립트 활용시에도 약간 고구마 답답한 부분들이 있고, Tableau나 MSTR dossier를 활용하다가 지금 일하는 이 곳에서 PowerBI로 입사 직전 확정되었다길래 처음엔 답답했지만 새로운 툴을 이해하는 겸, 어차피 진짜 일하는 사람은 툴을 가리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여러가지 또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이 곳에서 만난 PowerBI는 Tableau보다는 비교적 시각화 자유도나 GUI 내에서 변수 특성 변화하는 것들이 조금 덜 직관적인 부분이 있다거나 DAX 코드와 power query를 혼합해야 하는 경우들은 있지만, 인사이트와 개발을 동시에 진행하는 입장 기준에서는 꽤나 요긴한 GUI 영역들이 있었다. Data cleansing 과정이나 Power query 연계하는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