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
- openAI
- 챗GPT
- Python
- 데일리
- diary
- ChatGPT
- 태블로
- Ga
- 데이터시각화
- AWS
- Q
- datastudio
- 서평
- 북리뷰
- Adobe
- 책리뷰
- daily
- review
- 빅쿼리
- GPT
- SQL
- 파이썬
- tableau
- AZURE
- 생성AI
- 구글애널리틱스
- 필사
- 데이터분석
- bigquery
- Today
- Total
가볍게 배우고 깊게 즐기고 오래 남기기
Power BI Tip || 계산식 많고 무거운 리포트의 퍼포먼스 줄이는 Optimize 메뉴 (Paused visuals, Performance analyzer) 본문
Power BI Tip || 계산식 많고 무거운 리포트의 퍼포먼스 줄이는 Optimize 메뉴 (Paused visuals, Performance analyzer)
Awesomist 2023. 2. 25. 10:25PowerBI는 파이썬 스크립트 활용시에도 약간 고구마 답답한 부분들이 있고,
Tableau나 MSTR dossier를 활용하다가 지금 일하는 이 곳에서 PowerBI로 입사 직전 확정되었다길래 처음엔 답답했지만
새로운 툴을 이해하는 겸, 어차피 진짜 일하는 사람은 툴을 가리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여러가지 또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이 곳에서 만난 PowerBI는 Tableau보다는 비교적 시각화 자유도나 GUI 내에서 변수 특성 변화하는 것들이 조금 덜 직관적인 부분이 있다거나 DAX 코드와 power query를 혼합해야 하는 경우들은 있지만, 인사이트와 개발을 동시에 진행하는 입장 기준에서는 꽤나 요긴한 GUI 영역들이 있었다.
Data cleansing 과정이나 Power query 연계하는 부분도 그렇고 지금 소개할 Optimize 메뉴가 그렇다.
계산식 많고 무거운 리포트의 퍼포먼스 줄이는 Optimize 메뉴
* Paused & Refresh visuals
여러 개의 페이지를 보유하고 있는 리포트를 개발하 때,
필터를 동일하게 sync 거는 경우가 있는데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계산하느라 업무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바로바로 반영되는 값을 볼 필요가 없다면 Pause를 걸어두고 작업을 한 후, 일괄적으로 Refresh,를 한다.
Paused가 걸리면 아래와 같이 개체들이 Wrapping된다.
개체가 많을 경우 상단 바에서 일괄적으로 Refresh를 건다.
Good
- PowerBI 내부에서 모델링하고 관계를 맺은 리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주로 프로젝트 초기개발)
- 리포트에 넣을 테이블이 계속 변경되고 입출될 확률이 높은 경우 (결국 초기 개발)
- 딱 한 두 포인트를 변경 개발할 때 (Refresh 1~2번만 해도 될 때
Bad
- 개인적으로는 필터값과 슬라이서 상태값을 활용해 유연하게 변경되는 advanced visual을 구현하는 걸 선호하는 편이라서,
초기 개발
- 구축된 리포트 슬림화하고 최적화하는 단계
- 즉각적으로 변경된 내용을 확인하면서 변경개발해야 할 때
- 새로운 필터를 추가하거나 변경해서 전체적인 변경사항을 확인해야 할 때
(Tip) pbix 형태로 리포트를 관리한다면, 초기 데이터 연동시 테이블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SQL이나 기타 쿼리를 통해서 Aggregation이나 JOIN해 압축해서 가져오는 편이 좋다..
* Performance analyzer
: 리포트 퍼포먼스를 컨트롤하기 위해 가장 세밀하게 체크할 수 있는기능으로,
윈도우의 작업관리자 같은 역할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가장 duration이 큰 element를 세부적으로 파고 들어갈 수도 있다.
Other의 경우는 원인이 되는 쿼리도 함께 제공하니 참고!
Good
- 구축된 리포트 슬림화하고 최적화하는 단계
- 이상하게 리포트가 무거울 때
- 데이터를 많이 불러오지도 않는데 리포트 개체들의 반응이 늦을 때 (주로 계산식이 비효율적인 경우가 많다)
Bad
- 즉각적으로 변경된 내용을 확인하면서 변경개발해야 할 때
- 리포트 전반에 적용될 새로운 필터를 추가하거나 변경할 때 (전체적인 변경사항을 확인해야 할 때)
※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분석시각화 > PowerBI &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기초 || 랜딩존, 클라우드 환경 토대가 되는 요소들 Landing Zone Architecture & Naming Rule (0) | 2023.05.29 |
---|---|
GPT Memo || ChatGPT in Google Sheet 연동 방법과 유용한 함수 템플릿 (0) | 2023.04.07 |